티스토리 뷰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에 대해 알아보고 그 영향에 대해 알아봅시다.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여성호르몬은 난소에서 생성되어 혈액 내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등이 있습니다. 난소에서 만들어지며 콜레스테롤이 주원료인 스테로이드 성분의 호르몬입니다. 에스트론,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리올이 포함되며 세포 안의 수용체와 반응하여 몸 안에서 작용합니다.
에스트론: 폐경 후에도 지속적으로 만들어지는 에스트로겐으로 난소와 부신, 지방에서 만들어지며 에스트라디올의 효과를 높여줍니다. 에스트로겐의 저장소로 이용됩니다.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로겐 중 가장 중요한 호르몬으로 폐경기이전에 난소에 의해 생산됩니다. 몸 안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뭉쳐지면 여러 가지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폐경 이후에는 더 이상 생성되지 않습니다.
에스트리올: 에스트로겐 중 60~80%를 차지하지만 임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거의 감지되지 않으며, 임신한 여성의 몸에는 많이 생산됩니다.
에스트로젠은 유방과 자궁내막, 월경주기를 조절하고 배란에 관여합니다. 에스트로겐 농도가 높아지면 생리통이나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난소낭종, 유방암, 월경 전 증후군, 부정출현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프로게스테론은 난소에 있는 황체에서 나오며 월경주기에 작용하며, 2차 성징이나 임신의 유지와 출산에 영향을 미칩니다.
여성호르몬은 자궁이나 유방에도 악영향을 미치는데 관련 병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궁 근종 난소혹 양성종양 제거방법
자궁에 생기는 혹인 자궁근종과 난소 혹은 여자라면 흔하게 생기는 질환입니다. 대표적인 질환과 양성종양 제거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혹 종양이란? '혹'은 악성종양과 경계성 종양, 양성종양
alflalfl0707.com
자궁근종 종류 근층내 정막하 장막하 원인 증상
자궁 장막하 근종이 커지면서 방광을 누르면 빈뇨가 생길 수 있다. 평소보다 소변이 자주 마려웠는데 알고 보니 자궁근종이 커지면서 방광을 누르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런 경우
alflalfl0707.com
여성호르몬 영향
육류-육류를 먹게 되면 콜레스테롤이 증가하고, 콜레스테롤이 합성되어 에스트로겐이 만들어져 에스트로젠이 증가하게 됩니다.
콩- 콩 안에 있는 이소플라본(단백질)의 성분이 에스트로젠과 유사하여 식물성 에스트로젠이란 별명도 있습니다. 이 성분은 항상환효과와 실혈관, 대사증후군, 갱년기 여성 문제를 줄여줍니다. 다만 갱년기 여성이 아닌 성장기의 여성은 만이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생콩이 아니라 가공한상태인 두유나 두부는 이소플라본 함얌이 낮아지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합니다.
비만-살이 찌면서 지방세포가 늘어나면 체내 여성 호르몬 전환을 높여 호르몬이 늘어납니다.
스트레스-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스트레스 대항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분비됩니다. 이러한 코르티솔을 만들기 위해 프로게스테론이 많이 사용되고 이때 에스트로겐의 농도가 높아집니다.
환경호르몬- 환경호르몬 중에는 에스트로겐과 비슷한 화학구조를 가진 호르몬이 많으며, 잘 분해되지 않아 몸속에 축적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환경호르몬이 에스트로젠 수용체와 만나면 에스트로젠으로 인식되어 작용될 수도 있습니다.